불공정 하도급거래 관행, 전년 비해 개선

박신안 기자 발행일 2015-11-03 22:45:48 댓글 0
공정위, ‘2015년 하도급거래 서면실태조사’ 결과 발표

‘대금 미지급 등 불공정 하도급 거래’ 관행이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5년도 하도급 거래 서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원사업자 5000개와 수급 사업자 9만5000개의 등 총 10만 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공정위에 따르면 조사 대상 원사업자 중 대금 미지급, 서면 미발급, 부당 반품 등 24개 하도급법 위반 행위 유형을 대상으로 2014년 하반기 이후에 한 건이라도 법 위반 사실이 있다고 스스로 응답한 원사업자의 비율은 25.9%로, 지난해 29.2%에 비해 3.3%p 감소했다.


원사업자의 법 위반 혐의업체 비율 감소는 수급 사업자의 응답결과에서 더욱 두드러지는데, 감소 폭은 지난해 57.2%에서 49.1%로 8.1%p였다.


수급 사업자 응답 결과, 어음 할인료, 지연이자 미지급 등 대금 미지급 행위를 했다는 원사업자의 비율은 33.8%로, 지난해 39.1%에서 5.3%p 감소했다.


또 부당 위탁 취소 행위를 하였다는 원사업자의 비율은 지난해 7.8%에서 5.2%로 2.6%p, 대금 부당 결정·감액은 지난해 8.4%에서 7.2%로 1.2%p, 부당 반품은 지난해 3.0%에서 2.0%로 1.0%p 감소했다.


하도급 대금을 현금으로 지급받았다는 비율도 60.1%로, 지난해 54.8%에 비해 5.3%p 증가했다. 원재료 가격 상승 등으로 원사업자에게 대금 인상을 요청해 일부라도 수용되었다는 비율은 96.8%로, 지난해 92.0%에 비해 4.8%p 증가했다.


표준 하도급 계약서를 사용하고 있는 원사업자는 전년에 비해 0.6%p 증가한 75.6%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약품 제조업과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등 일부 업종에서는 해당 업종에 표준 하도급 계약서가 없어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높은 비율을 보였다.


공정위는 하도급 업체들이 올해 간담회 등을 통해 새로운 애로사항으로 호소한 ‘건설 공사에서 물량 추가’, ‘변경 위탁 시 서면 미교부와 유보금 설정’ 문제도 이번 조사에 처음으로 포함시켰다고 설명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드러난 대금 미지급, 서면 미교부, 유보금, 부당 특약 설정 등 2500여 개의 법 위반 혐의 업체들에게 자진시정을 요청했다”며 “이를 시정하지 않는 업체나 법 위반 비율이 높게 나타난 업종은 내년에 집중 점검하여 엄중하게 제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공정위는 의약품 제조업과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부문에서의 표준 하도급 계약서도 내년에 제정하여 보급할 계획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