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조류경보제 개선으로 체계적인 녹조관리 나선다

안홍준 기자 발행일 2015-12-01 19:10:09 댓글 0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환경부(장관 윤성규)는 조류경보 발령지표를 남조류 세포수로 단일화하여 조류경보제를 개선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이하 수질법)’ 시행령 개정안이 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그간 녹조현상에 대해 대표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 클로로필-a 농도를 조류경보 지표에서 삭제하고 유해남조류 세포수로 단일화하여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기준을 초과할 때 조류경보가 발령된다.


이전 조류경보는 클로로필-a 농도와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동시에 기준을 초과해야만 발령할 수 있었다.


경보 발령 기준은 경계단계의 경우 클로로필-a 농도 25mg/m3와 유해남조류 세포수 5,000cells/mL를 동시에 초과하는 기준에서 유해남조류 세포수 1만cells/mL 초과로 조정됐다.


환경부는 먹는물 감시기준과 우리나라에 나타나는 유해남조류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보 발령 기준을 정했다.


또한 수영, 낚시, 수상레저 등 친수활동을 보호하기 위하여 친수활동구간에 대한 조류경보제를 새로 도입했다.


조류 발령단계는 관심-경계 2단계로 구분되며, 발령기준은 수영 등 친수활동 때 무의식적으로 물을 먹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각 유해남조류 세포수를 2만cells/mL, 10만cells/mL로 설정했다.


아울러 제도 운영 상 나타난 미흡한 부분을 보완, 조류경보 발령대상에 하천을 추가하고 경보단계를 국민이 알기 쉽게 관심·경계·대발생으로 개선했다.


한편, 이번 개정 수질법 시행령은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환경부는 조류경보제 발령구간과 발령권자를 지정하는 등 후속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