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국내의 모든 GPS데이터가 한 곳으로 통합되고 서비스됨으로써 다양한 위치정보 서비스의 제공 및 국가예산의 절감 등이 가능해진다.
2일 국토부·미래부·해수부 등 GPS데이터를 보유한 8개 기관은 그간 별도로 구축·사용하던 GPS데이터를 한곳으로 통합하고, 이를 원천데이터 형태로 민간분야에 개방·서비스한다고 밝혔다.
GPS 운영기관으로는 국토교통부(국토지리정보원), 미래창조과학부(국립전파연구원), 해양수산부(국립해양측위정보원), 기상청(국가기상위성센터), 서울특별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LX국토정보공사 등이다.
국토부 등에 따르면 GPS데이터는 높은 활용성에도 불구하고, 각 기관은 예산한계 등으로 전국에 필요한 수량의 GPS관측소를 설치하지 못하고 중요 지역에만 일부 설치하여 업무에 활용 중에 있으며 추가설치 시에도 타 기관과의 정보공유가 이뤄지지 않아 관측소 중복설치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왔었다.
이를 해소하고 GPS데이터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8개 기관은 지난해 5월 GPS데이터 공동활용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데이터 표준 마련과 기관별 데이터 통합 및 허브센터 구축 등 통합·공동 활용에 필요한 기반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번 GPS데이터 통합으로 전국 어디서든 20km간격의 110여개 관측소에서 수신하는 실시간 데이터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8개 기관뿐만 아니라 연구소·대학교 등도 관측소의 추가설치 없이 고정밀 위치결정·안전항행·지질연구·지구환경 등 다양한 업무수행과 연구 등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국토부 측은 전했다.
경기도 재난안전본부는 GPS원천데이터를 재가공하여 이를 건축물 안전관리에 활용할 계획으로, 앞으로 GPS원천데이터의 응용을 통해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금번 GPS데이터 통합 업무를 통해 책임운영기관 정부3.0 우수사례에 선정되었고, 이를 계기로 “정부3.0 시대에 맞춰 기관별 협력 및 정보 공유를 강화하고, 공공 데이터의 과감한 공개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국토부 등은 GPS데이터 통합 서비스의 안정적 운용을 위해 시범운영 및 이용자 요구사항 반영 등을 통해 다가올 2016년도 하반기부터 정식 서비스 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