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한양도성을 끼고 있는 서울 종로구의 성곽마을 행촌권을 지난 2014년 ‘성곽마을 재생계획’ 수립과정에 포함시키고 현재 주거재생에 도시농업을 접목한 ‘도시농업 특화마을’로 탈바꿈하고 있다고 밝혔다.
성곽마을 행촌권은 노후 저층주거지 밀집지역으로서 도심에 있지만 유휴지가 많고 구릉지라는 특성상 채광과 공기가 좋아 도시농업에 최적화 된 곳이다.
특히 도시농업을 소재로 한 주민 공동체 활동을 통해 지역에도 보탬이 되고 경제 가치까지 창출하는 사회적경제 주거재생모델, 도시농업 수익형모델을 만들어가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
서울시는 ’14년 7월부터 한양도성 보전과 주거지 환경 개선,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한양도성 9개 권역 22개 성곽마을을 대상으로 주민중심의 ‘성곽마을 재생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지난해 7월 교남동 주민설명회를 시작으로 주민워크숍, 설문조사 등을 실시했고, 주민들은 도시농업 중심의 도시재생을 직접 선택했다. 마중물 사업 역시 지난 2월 발족한 주민 중심 ‘도시농업공동체’가 주축이 되고 있다.
마중물 사업은 ‘행촌共터’ 조성, 옥상경작소 등 주민 경작공간 확대, 육묘장‧양봉장 등 도시농업사업 발굴, 도시농업 공동체 전문성 강화사업이다.
시는 마중물 사업을 위해 도시농업공동체에 26억 원의 사업비, 지역 내 시 소유의 유휴지 등을 제공해 사업들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행촌共터 1호점은 재생사업의 실행력 확보를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식물약국, 마을박물관(지역 생활문화 기록 전시), 재생지원센터(안내센터), 옥상경작소(연구‧체험공간)가 들어선다.
특히 ‘식물약국’은 도시농업 관련 물품 구매‧대여와 전문가 자문까지 원스톱 이용이 가능한 ‘가든센터’ 기능부터 지역에서 생산한 물품을 유통‧판매하는 장터로서 ‘브랜딩’을 통한 유통망 확산을 연구하는 핵심공간으로까지 활용할 예정이다.
행촌共터 2호점은 마을 중심에 위치한 주민 커뮤니티 핵심공간으로 운영된다. ‘마을 곳간’이라고 이름붙인 이곳은 주민들이 작물을 함께 키우는 ‘마을텃밭’, 작물을 저장하거나 이를 가공한 상품을 개발하고, 모여서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추억을 만드는 커뮤니티 공간 ‘공유부엌’ 등으로 구성된다.
3호점은 날씨에 상관없이 연중 실습이 가능한 전천후 도시농업 교육장으로 쓰인다. 육묘장과 마을텃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만큼 온실형태의 건물로 조성했다.
계절별‧작물별 재배방법 등 도시농부 양성을 위한 현장교육과 다양한 도시농업 모델 전시가 이루어진다. 또 한양도성, 인왕산 등이 보이는 전망 좋은 마을카페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이어 옥상경작소는 현재 독립문초등학교, 대신중고등학교, 주민건물 13개소에서 4월부터 시범운영 중이다. 학생과 주민들이 옥상을 활용해 다양한 작물을 심은 600여 개의 상자텃밭을 가꾸고 있다.
또 양봉장 운영은 지난 3월 참여를 희망하는 주민을 모집해 교육을 실시한 뒤 벌통 40개를 설치해 시작했다. 20명의 주민이 5~6월 채밀한 아카시아꿀을 서울시 도시농업박람회, 종로구 도시농업어울마당 등에서 판매해 500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
육묘장은 지난 3월 시와 자치구 소유의 유휴지 일부에 육묘장으로 쓰일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면서 조성됐다. 주민들은 육묘장에서 상추와 고추씨를 심어 모종을 길렀고, 2만 포기를 키워 옥상 경작소로 옮겨 키우거나 남는 것은 판매해 350만 원의 수익을 거뒀다.
주민들은 제철작물을 중심으로 종류를 다양화 해 연중 작물재배를 통한 수익창출을 이어갈 계획이다.
농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주민들을 위한 교육도 활발하다. 예컨대, 도심 양봉업에서 성공을 거둔 선도농가 주민을 강사로 초청, 주민들에게 양봉 기본교육을 하고, 수시로 자문이 가능하도록 주민과 강사를 매칭했다.
시는 이번에 문을 연 ‘행촌共터’ 등을 활용해 보다 체계적으로 도심농업 관련 이론‧실습 교육을 병행하면서 주민 공동체의 전문성을 강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성곽마을 행촌권은 도시농업에 대한 주민들의 경험과 열정을 바탕으로 도시농업 자립마을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곳”이라며 “주민들은 텃밭에서 고부가가치 사업을 발굴해 안정적 수익구조를 만들고, 시는 교육을 통해 도시농부의 역량을 강화시켜 새로운 주거재생모델을 만들어나가는 데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