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추진중인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에 대해 민관협의회 민간위원들이 한수원이 수익을 독식하 구조라며 주장하며 지역 이익 분배를 요구하고 나섰다.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에 대해 민관협의회 민간위원들은 2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수력원자력이 주도하는 300㎿(메가와트)급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을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위원들은 "이 사업이 완료되면 한수원은 최대 9천억원에서 최소 7천억원 이상 순수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렇게 많은 이익을 얻는데도 한수원의 사업 계획에는 지역과 이익을 나누려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위원들은 또한 한수원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회사 설립 과정에서도 미설립 회사의 지분이 참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위원들은 "지난해 1월 새만금쏠라파워가 설립됐고 다음 달 이 회사에 현대글로벌이 지분 참여했는데 현대글로벌의 설립일은 그 이후인 지난해 4월"이라며 "설립되지도 않은 회사에 19%나 지분 참여를 허가한 일은 누구도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위원들은 이날 정부 주관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관계 기관에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 개발권 재검토, 중소기업·지역기업의 참여가 이뤄지는 사업 시행방식 변경, 새만금쏠라파워에 현대글로벌이 참여한 과정의 철저한 조사 등을 요청했다.
조동용 민간위원(전북도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런 문제가 투명하게 밝혀지지 않고 지역 상생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 전체에 큰 위기가 올 수 있다"며 "새만금개발청과 한수원, 정부는 특단의 대책을 수립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