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근무시간 평균 9.1시간...'건설·건축·토목·환경' 종사자, 가장 길어

박한별 기자 발행일 2020-11-03 09:56:33 댓글 0

직장인들이 실제로는 근로계약서 상의 근무시간보다 약 1시간 더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크루트와 알바콜이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2일까지 직장인 963명을 대상으로 기업 및 직종별 근로시간 실태에 대해 공동 설문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6%이다.

 

조사 결과 하루 평균 실제 근로시간은 9.1시간으로 집계됐다. 계약서상의 근로시간은 8.2시간으로 실제 약 1시간가량 더 일하고 있는 셈이다.

 

기업 형태별 실제 근로시간은 '공공기관'이 8.5시간으로 가장 짧았고, 이어 '대기업' 8.7시간, '중소기업' 9.1시간, '중견기업'이 9.5시간 등으로 나타났다. 

 

▲제공=인크루트

 

직종별로는 '건설·건축·토목·환경' 종사자들이 9.7시간으로 가장 오래 일했다. 이어서 '전자·기계·기술·화학·연구개발' 9.6시간, '생산·정비·기능·노무' 9.4시간, '유통·물류·운송·운전' 9.3시간, '마케팅·광고·홍보·조사' 9.2시간 순으로 집계됐다. 

 

다음으로 '의료·간호·보건·복지' 9.0시간, '서비스·여행·숙박·음식·미용·보안'ㆍ'전문직·법률·인문사회'ㆍ'무역·영업·판매·매장관리' 각 8.9시간, '경영·인사·총무·사무' ㆍ'미디어·문화·스포츠'ㆍ'인터넷·IT·통신·모바일·게임' 각 8.8시간, '재무·회계·경리'ㆍ'금융·보험·증권' 각 8.6시간, '교육·교사·강사·교직원' 8.5시간 등이었다. 

 

▲제공=인크루트

 

무엇보다 주52시간제 도입여부에 따른 온도차도 뚜렷했다. 도입한 기업 재직자는 평균 8.9시간 일한다고 답한 반면, 미도입 기업의 경우 9.5시간으로 조사됐다. 근로시간 단축을 시행하지 않는 기업이 약 0.6시간 가량 더 일하는 것이다. 

 

또한 주52시간제 도입 기업 재직자는 앞서 전체 평균 근로시간인 9.1시간보다 적게 근무하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근로시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한편 지난 1월 도입된 50~299인 기업 주52시간제는 올해 말까지 계도기간을 마치고 본격실시를 앞두고 있다. 내년 7월부터는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도 주52시간 근무제가 확대된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