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를 미세플라스틱이 점령하고 있다. 어패류들은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해 목숨을 위협받고 있고, 해산물을 섭취하게 되는 인간은 매년 1만개가 넘는 미세플라스틱 조각을 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더욱 충격을 안기고 있다.
특히 세계경제포럼에 따르면 현재와 같은 상태가 계속될 경우에는 오는 2050년, 바다에는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의 개수가 더 많아질 것이라고 예측해 눈길을 끈다. 이는 곧 환경오염으로 인해 세계 경제 또한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매 해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약 100만 여 톤이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에서 미세플라스틱은 무려 약 30%를 차지할 만큼 엄청난 양이 버려지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에 따르면 우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도 늘고, 이에 따라 미세플라스틱의 양도 많아졌다고 밝혀졌다.
이에 각 나라는 물론, 세계 곳곳에서 해양 오염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폐플라스틱 처리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폐플라스틱을 수거하거나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는 것.
흔히들 폐플라스틱의 경우에는 재사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겠지만, 각종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재활용된 폐플라스틱을 수거해 각종 용품을 만들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신을 수 있는 신발부터 실, 의류 등까지 만들고 있다고 전해져 폐플라스틱 처리에 청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특히 일부 브랜드에서는 연간 40여 톤 이상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지속 가능한 소재로 대체하겠다고 발표, 위와 같은 움직임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윤 창출을 위한 기업이 폐플라스틱을 주 원료로 선택한 만큼, win-win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셈이다.
시각을 돌린 마케팅으로 인해 지구의 환경이 나아지는 것 뿐만 아니라 이익까지 만들어내고 있는 이 시점. 기업의 목적은 이익과 환경 보호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