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은 지난 2018년 현대글로비스와 현대모비스의 분할 합병을 추진하면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추진한 바 있으나 주주 등의 반발에 밀려 개편안을 자진 철회한 바 있다.
정 회장은 15일 취임 후 첫 대외활동인 수소경제위원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지배 구조 개편에 대해 "고민 중"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에서는 정 회장이 현대글로비스와 현대모비스의 합병에 대한 불씨를 다시 살리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는 모비스 전체 기업 가치의 60∼70%를 차지하는 AS 부문을 분할, 상장한 뒤 이를 글로비스와 합병하는 안이다.
분할 회사를 별도 상장하고 일정 기간 내에 평균 거래 가격으로 글로비스와 합병하면 시간은 다소 걸리지만, 합병 비율을 시장에 맡기기 때문에 2018년과 달리 합병 비율의 공정성 등에 대한 주주의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정의선 회장이 가진 현대모비스 지분은 0.32%, 아버지 정몽구 명예회장은 7.1%를 소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 회장이 23.29%의 지분율을 가진 현대글로비스를 중심으로 지배구조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이다.
문제는 지난 2006년 현대차그룹은 정몽구, 정의선 부자가 가진 글로비스 지분 전체를 사회복지재단에 기부하기로 약속했다는 것이다.
당시 현대차 비리 의혹을 수사하던 대검 중수부(박영수 검사장)는 정몽구 회장을 특경가법상 횡령 및 배임 등 혐의로 구속기소 했으며, 정몽구 회장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윤리적 의무를 다하기 위해 그동안 경영권 승계 관련 이혹이 제기되었던 개인 보유 글로비스 주식 전량을 조건 없이 사회에 환원하겠다”며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불우이웃을 돕는 데 정몽구 회장의 보유주식과 정의선 사장의 총 약 1조 원 상당의 보유주식을 사회복지 재단에 기부하기로 약속했다.
이러한 약속을 배경으로 정몽구 당시 회장은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상황이 이렇게 되자 사실상 두 사람이 현대글로비스 지분 전체를 기부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현대차그룹 측은 "재단 목적사업을 지속 추진하기 위해 주무관청 승인하에 글로비스 주식을 전량 2013년에 기본재산으로 편입했으며, 처분은 관청의 엄격한 승인이 필요하다"면서 주식 보유 이유를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현대차그룹 한 관계자는 “지배 구조 개편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 없으며, 현대글로비스 지분 기부 건은 개인판단의 영역이다”라고 일축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