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주영 의원(김포시갑)이 7일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공공기관 청년의무고용제 이행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청년고용의무 이행률은 78.9%대로 201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고용의무제도는 청년고용특별법에 따라 공공기관이 매년 전체 정원의 3% 이상 미취업 청년을 채용하는 제도다. 2014년 도입돼 2021년 일몰 예정이었으나 청년 실업에 대한 우려로 2026년까지 연장됐다.

청년의무제 도입 후, 70%대에 머물던 이행률은 2016년 80%대를 기록하다 문재인 정부 들어 2017년 80%, 2018년 82.1% 2019년 89.4%, 2020년 84.9%, 2021년 86.5%, 2022년 87.3%를 기록했다. 7년여간 80%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다 지난해 전년 대비 8.4%포인트 하락하면서 8년 만에 70%대로 추락했다.
특히 의무 고용 미이행 기관으로는 노동부 산하인 ▲노사발전재단을 비롯한 ▲국민연금공단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산업은행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주영 의원실이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청년 정규직 채용은 17,142명으로 전년 대비 3,830명 감소했다.
최근 5년치(′19년~′23년)를 보면, 2만 명 대를 유지하다 지난해부터 1만 명대로 하락했다. 윤석열 정부가 공공기관 정원 감축 방침을 시행하면서 채용 규모가 줄어든 탓이다.(2019년~2024년 상반기) 사회형평적 유형별 공공기관 정규직 채용 실적
올해 공공기관 상반기 청년 정규직 채용은 6,466명에 그쳤다. 이 밖에도 여성, 고졸 등의 고용 비율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주영 의원은 “의무고용 이행률이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정부가 경영효율을 핑계로 기회의 균등, 일자리 창출 등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회피한 결과다."라고 밝히면서 "정부가 올해 다시 채용을 늘려 청년 취업시장을 지원하겠다고 한 점은 다행이지만, 오락가락 정책 기조가 오히려 공공기관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정부는 무조건적인 공공기관 몸집 줄이기가 아닌 청년, 장애인 등 노동시장 약자의 양극화 상황을 고려해 공공기관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일관된 정책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