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올 해는 9월에도 (9.1-9.22) 폭염주의보 49건, 폭염경보 34건으로 온 국민이 기후재난을 걱정하고 있는 엄중한 상황이 이어졌다.

이러한 현실에도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윤석열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안일하기만 하고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산하‘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컨트롤타워 역할도 미흡하기만 하다.
현 정부는 2024년부터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2024년부터 2027년 5월까지 평균 1.99%를 감축, 그 이후 차기 정부에서는 이 수치의 5배 정도인 9.29%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는 기준으로‘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에 명시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35%를 제시했다.
이에 대해 한창민 의원은 “기후재난은 우리사회의 가장 약한 사람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는 불평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라며“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거대한 폭탄 타이머가 우리 앞에 있는 상황이지만,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이행실적 점검계획은 행정적 절차의 안일함만을 보여주고 있다”고 질타했다.

2023년 전체회의 6회, 분과회의 41회에 비하면 절반도 안 되는 수치로, 현재 1기 탄녹위원의 임기만료(임기 2년)가 2024년 10월 20일으로 임박해 있기에 올 해 더 이상의 회의는 불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회의 개최 현황

사회민주당 한창민의원이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산하‘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 이와 관련해 질의한 답변에 의하면“향후 위원 위촉 시 사회계층의 대표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임”이라고 밝혔다.이에 한창민의원은“향후 석탄화력발전소, 철강산업 등‘정의로운 전환’이라는 이행 정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 대화에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산하‘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주도적으로 각 부처의 이행점검 결과를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