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시멘트 업계가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환경부는 오는 10일 오후 강원도 동해시 쌍용양회 동해공장에서 '시멘트 질소산화물 저감 협의체' 발대식을 개최한다.
이번 협의체에는 정부 및 9개 시멘트 제조사 관계자, 대기환경 전문가 등 총 19명이 참여할 예정으로, 올해 말까지 시멘트 업계의 질소산화물 저감 목표와 실행 방안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이를 통해 업계 및 관련 전문가와 현장을 꼼꼼히 조사하고 고효율 방지시설 설치와 제조 공정 개선 등의 다양한 기술적 해법을 모색할 계획이다.
시멘트 제조업은 초미세먼지(PM 2.5)의 주요 생성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다량으로 배출하는 업종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부는 질소산화물 저감 목표를 설정하고 사업장별 세부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저감기술의 현장 실증을 통해 질소산화물 배출 억제를 위한 기술적인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사업을 강화해 나가는 한편, 대규모 시설 개선에 투자되는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환경부 분석에 따르면 질소산화물 저감기술이 현장에 적용돼 시멘트 업계의 배출농도가 배출 부과금 부과기준 이하로 낮아질 경우 배출량이 연간 약 4만t 이상 줄어든다.
환경부 관계자는 "협의체에서 마련하는 대책이 실질적인 시설 개선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