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날씨 예보가 정확도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기상청이 12일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기상감시를 위해 인천 옹진군 덕적도에 '제2 해양기상기지'를 건설해 예측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기상청의 설명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편서풍대에 속해 집중호우·폭설·황사 등의 위험기상이 주로 서해상에서 발달해 유입된다. 때문에 그동안 한반도 서쪽의 해상 및 고층기상관측망 확대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됐다.
2 기지는 덕적도(인천 옹진군 덕적면 북리 490-4)에 자리하게 된다. 기상청은 지상·고층·환경관측장비 등을 설치할 관측 장소(1541㎡)와 지상 2층 규모의 건물(연면적 473.11㎡)을 건축할 예정이다.
기상청의 계획에 따르면 2 기지는 이번달 기초공사를 시작으로 2021년에 기상관측장비를 도입한 후, 2022년부터 정식 운영된다.
2 기지에 도입되는 장비는 연직바람관측장비, 자동고층기상관측장비, 황사관측장비, 지상기상관측장비 등이며, 기지 구축이 완료되면 해양기상부이(해수면에서 해양기상현상을 관측하는 장비)등이 추가로 설치된다.
기상청은 이번 2 기지에 자동고층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해, 대기 상층의 관측자료를 확보해 수치예보 모델의 예측력을 향상하고, 기지에서 확보된 자료는 서해상의 위험기상 현상을 조기에 탐지하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기상청은 지난 2005년부터 충청지역 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해 서해상인 북격렬비도에 '제1 해양기상기지'를 설치해 운영해 오고 있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제2 해양기상기지를 구축해 안전한 해상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신속하게 위험기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기상청은 이날 '초단기예보'를 선보인다고 알렸다.
초단기예보란 6시간 이내의 기상을 10분마다 분석해주는 예보로, 예상 강수량부터 비구름대의 이동 경로까지 실시간으로 급변하는 기상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기상청은 이번에 도입하는 초단계예보는 위성사진과 기상관측자료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개선한 결과 60분 주기로 발표되던 기존 예보보다 6배 빨라진 것으로 90% 넘는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상청 예보는 날씨누리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 '날씨 알리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