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탄소 중립 프로그램' 시행...온실가스 연 414톤 감축 목표

이동민 기자 발행일 2020-06-29 16:08:22 댓글 0
당진·보령 환경기초시설 3개소 대상
▲ 한국동서발전 당진화력본부 25㎿급 태양광 발전설비(사진=당진화력본부 제공)

 

충남도가 당진·보령지역의 환경기초시설 3개소를 대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탄소 중립 프로그램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탄소 중립 프로그램은 환경부 공모 사업의 일환으로 소각장, 폐수·하수처리장, 폐기물처리장 등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환경기초시설에 태양광·소각폐열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설치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사업을 말한다.

충남도는 지난 2012년부터 공주시 가축분뇨처리장, 서천군 위생매립장, 홍성군 가축분뇨처리장 등 도내 환경기초시설 9개소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올해에는 당진 고대부곡하수처리장, 합덕하수처리장, 보령 공공하수처리장 등 총 3개 시설에 추진한다.

환경기초시설 3개소에 총사업비 20억 3000만 원을 투입해 총 700㎾ 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고, 하수처리시설 주변 부지와 건축물 옥상 등 가용 가능한 모든 유휴 부지를 활용해 조성할 계획이다.

태양광 발전 설비를 통해 발생하는 연간 발전량은 ▲당진 고대부곡하수처리장(400㎾) 54만 2025㎾h ▲당진 합덕하수처리장(100㎾) 10만 8405㎾h ▲보령 공공하수처리장(200㎾) 25만 5500㎾h 등 총 90만 5930㎾h로, 1인당 전력 사용량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천여명이 한 달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충남도는 또한 이번 태양광 발전 설비로 예상되는 온실가스 감축량이 소나무 3000여 그루를 심은 효과와 맞먹는다고 설명했다.

충남도도 관계자는 "그런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기존 화석연료 에너지를 대체하는 이 사업은 환경기초시설 온실가스 발생량 감축에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며 "앞으로 사업 대상지 발굴 및 환경부 공모에 적극 대응해 도내 환경기초시설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설치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