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당국이 본격적인 장마철이 도래함에 따라 정부가 야생멧돼지를 통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본격적인 시설물 관리에 들어갔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 차단을 강화 방안으로 한달간(6월 28일~7월 31일)을 시설물 집중관리기간으로 설정하고 차단 울타리, 양성매몰지 등 대응 시설물을 점검·보강에 들어간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경기·강원 북부에 광범위하게 설치된 차단 울타리와, 산악지형에 산재한 양성개체 매몰지 등이 집중 강우로 인해 손상되어 차단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현재 경기·강원 북부 지역에는 2차울타리 378km, 광역울타리 483km(파주∼고성) 설치돼 있다.
환경부는 우선 차단 울타리에 대해 현장 관리인력을 기존 67명에서 172명으로 확충하고, 비상연락망을 유지하는 등 상시점검 및 차단상태 관리체계를 공고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집중강우에 의한 울타리 유실 우려가 있는 취약구간(계곡부 등)으로 포천시 관인면 등 24개소를 선정·보강하고, 취약구간에 대해서는 관리인력을 배치하는 등 집중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인력으로 감시하기 어려운 구간 등은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무인센서카메라 약 390대를 설치하고, 멧돼지 이동경로 및 서식밀도 조사 등도 활용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현재 파주시, 연천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고성군, 포천시 등 7개 시·군에 위치한 양성매몰지 517개소에 대해서도 집중호우 발생시 훼손여부·매몰상태 등을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점검을 진행 중이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7일간(6월 24일~30일), 경기도 포천시와 강원도 화천군에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2건이 추가로 발생하여 현재까지 총 654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최근 강우일수가 증가하여 폐사체 수색, 멧돼지 포획을 위한 현장인력 투입이 이뤄지지 못하는 등 감염 폐사체 및 발생지역 내 개체수의 제거가 활발하지 못한 상황"라며, "야생멧돼지 확산차단 대응 시설물 등을 점검하는 데 가용 자원을 집중시켜 여름철 추가 확산이 없도록 방역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