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체 선정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져 왔던 것은 아닌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대목이다. 또한 최근 판매대금을 미지급한 것으로 밝혀진 위메프·티몬 등 큐텐계열사에 국가예산 30여억 원이 지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큐텐’은 이커머스 회사로서 위메프, 티몬, 인터파크, AK몰, Wish 등 5곳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이 가운데 문제가 되고 있는 위메프 6억 3천 5백만 원, 티몬 5억 8천 1백만 원이 각각 지급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중소기업유통센터는 온라인쇼핑몰에 소상공인이 입점할 때 입점 수수료 등을 지원해 오고 있는데, 올해 예산 1천 19억 원 가운데 114억 원이 큐텐계열사에 지급될 예정이었다.
지난 11일 판매대금 미정산 문제가 불거진 이후 중소기업유통센터는 티몬과 위메프에 대한 대금 지급을 중단하고, 26일부터 소상공인 피해 사례를 확인하기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소상공인과 소비자 피해가 얼마나 발생했는지 상세한 피해 규모는 현재까지도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박상웅 의원은 “언제 터질지 모를 ‘시한폭탄’을 국가 공공기관이 알면서도 이를 묵인한 채 방치해오다 결국 애꿎은 소상공인과 소비자만 피해를 입게 된 것”이라면서 “최근까지도 중소기업유통센터는 해당 업체들과 판로진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온라인 홍보 지원을 벌인 것은 무능함을 넘어 직무유기”라고 꾸짖었다.
문제는 위메프, 티몬 등 온라인쇼핑몰 업계는 통상 2달 뒤 입점 업체에 대금을 지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 발생한 피해금액과 피해규모는 다음 달부터 더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정확한 피해 규모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이번 위메프·티몬 사태는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면서 “도미노 현상처럼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소상공인과 소비자 피해가 양산되지 않도록 관리감독 당국의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