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기상청 예보관의 월평균 야간근무시간은 61시간, 초과근무시간은 36시간, 휴일(토요일 및 공휴일)근무시간은 115일~117일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에 따르면 예보관 업무 특성상 야간과 주간 구분없이 고강도 업무를 24시간 지속해야 해, 예보관들의 건강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후위기로 인해 과거 경험하지 못한 수준의 위험 및 특이 기상이 발생하면서 업무 강도가 높아지고 ‘예보부서 기피 현상’마저 생겨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신규 예보관 확보 및 우수 예보관 양성 등이 어려워져, 중장기적으로 예보 역량 하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예보관 인력 부족 및 업무 과중 문제는 이전부터 꾸준히 지적되었지만, 2022년과 2023년에 132명이던 예보관 수는 2024년 7월 기준으로 140명으로 단 8명만 증원된 실정이다.
청별로 살펴보면, 본청의 경우 22년부터 24년 7월 현재까지 예보관은 총 44명으로 같으며, 부산청 12명, 광주청 12명, 전주지청 8명, 강원청 12명, 대전청 8명, 청주지청 8명, 제주청 8명으로 본청과 같이 예보관 증원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오직 수도권청과 대구청만 예보관 인력이 증원됐는데, 수도권의 경우 22년,23명 12명에서 올해 16명으로 증원됐으며, 대구청은 8명에서 올해 12명으로 증원됐다.
김소희 의원은 "기후변화로 기상 예측이 점차 어려워지는 상황에, 지난 4년간 예보관 근무의 질이 단 1분도 나아지지 않았다"며, "예보관 인력문제로 인한 역량 저하 문제를 해소하고 기상 관측 품질까지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