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월 19일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산불 원인 중 한 가지를 꼽았다. 바로 침엽수가 많다는 특성이다. 주로 나무를 심을 때 침엽수를 많이 심는다. 성장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목재 활용성 또한 높다. 하지만 알레르기 물질이 나오고, 산불에 취약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우리는 나무를 심을 때 주로 침엽수를 심는다. 활엽수가 화재에 강하다. 경제성도 굳이 침엽수가 낫다고 보기 어렵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침엽수를 심는 대신 자연적으로 두거나 활엽수를 심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21세기 과학 문명 시대에 아직도 이런 논쟁이 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중요한 문제라고 짚었다. 과학적인 입증에 기반한 환경 시스템이 정착되지 않았다는 점에 문제 의식을 드러낸 것이다.
그러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논쟁 중 핵심은 우리 산림이 630만 헥타르인 가운데 그중 66%가 사유림이라는 데 있다고 전했다. 사유림 경영인 입장에서는 벌목이 곧 수확으로 인식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환경론자 입장에서는 벌목 자체를 환경 파괴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 대통령은 이해관계 없는 재야의 고수들 즉, 국민의 집단지성에 대한 믿음이 크다고 강조하며, 국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다양하게 들어보고 과학적 검증도 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이러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되짚으며, 그 근본적인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결국 이 대통령의 발언은 단순한 지적을 넘어 침엽수와 활엽수 논쟁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첫 단추로 읽힌다. 이는 갈수록 심화되는 기후 위기 속 산불 예방을 위한 첫 발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단편적인 논쟁을 반복하는 대신 산림 정책 전반을 과학적 검증과 국민 참여 등을 통해 재구성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특히 환경, 경제, 사유재산권 등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도 해법 자체는 비교적 단순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이번 계기로 전문가, 환경론자, 국민, 사유림 경여인 등 다양한 관계자가 모여 논의한다면, 산불 예방에 취약한 침엽수 위주의 조림이 왜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에 대한 보다 구조적인 원인이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이 대통령은 침엽수 위주의 조림 관행을 직접 문제 삼고, 활엽수 확대 가능성을 공론화한 만큼, 오래된 논쟁은 이제 방향을 전환할 분기점에 들어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