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총선을 맞아 중소기업 단체들이 중소기업 생태계 조성과 일자리 마련 등의 내용을 담은 과제를 발표하고 국호의 법안 처리와 정부의 시행을 요청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은 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가진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제21대 총선 중소기업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주요 정책과제로는 △대·중소기업 상생 및 공정경제 확립 △중소기업 지속 성장을 위한 생태계 조성 △더 많은, 더 나은 일자리를 위한 환경 조성 등 9개 분야 260건이다.
중기중앙회는 아울러 이달 중에 '대·중소기업간 납품단가조정위원회'(가칭)를 출범, 중기중앙회가 개별 중소기업이나 협동조합을 대신해 직접 납품단가를 조정하는 '납품단가조정협의권'이 실질적으로 발효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조정위원회는 업종별 7~8개 분과위원회로 구성해 관련법 통과와 법 시행 때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중기중앙회는 조정위원회의 제안문을 4월 총선 전에 16개 중소기업단체협의회(중단협) 명의로 여야 각 정당에 순차적으로 전달하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는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피해가 급격히 확대할 가능성을 대비 정부가 조속히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사태가 얼마나 더 이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5천만원 정도는 대출해줘야 최소 6개월은 버틸 것"이라고 말했다.
중기중앙회는 지난달 30일부터 신종 코로나 비상대책기구를 꾸려 업종별로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정부와 대응책을 논의 해왔다.
김 회장은 "중국에서 생산하는 부품·소재 조달에 차질이 생기면 국내 산업도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중소기업도 글로벌 아웃소싱을 상당 부분 하고 있기 때문에 직격탄을 맞게 됐다"고 우려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