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중공업이 임직원에 대한 대규모 구조조정에 돌입한다.
두산중공업이 18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기술직과 사무직을 포함한 만 45세(1975년생)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는다.
두산중공업은 이달 20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2주간 명예퇴직 신청을 접수할 예정이다. 이번 구조조정은 2014년 말 이후 만 5년여 만이다
대상자는 전체 정규직 직원 약 6000명 가운데 2600명 선으로 명예퇴직 규모는 1000여명에 달한다
명예퇴직자는 법정 퇴직금 외에 근속연수에 따라 최대 24개월치 월급을 받는다. 20년차 이상은 위로금 5000만원을 추가로 받게 된다. 이 밖에 최대 4년간 자녀 학자금, 경조사, 건강검진도 지원된다.
두산중공업은 이번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 조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2014년 이래 6년 연속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계 발전 시장의 침체가 계속되면서 국내외 발전사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두산중공업은 세계 에너지 시장 추세에 맞춰 가스터빈 국산화와 풍력 발전 등 사업의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에 도달하기 까지는가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두산중공업은 그동안 임원 감축, 유급순환휴직 등 고정비를 줄이는 재무구조개선 작업을 해 왔지만 인력구조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두산중공업 사측의 이런 방침에 대해 노동조합은 명예퇴직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성배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두산중공업지회장은 이날 "명예퇴직 신청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 지회장은 "일련의 과정을 보면 계열사에 대한 무리한 퍼주기가 있었고, 경영의 무능함으로 인해 부실로 경영위기다"며 "명예퇴직을 인정할 수도 없고, 만약 회사에서 강제한다면 저지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